본문 바로가기

정의

[월간 틀 기고] ‘낙태’가 ‘여성’ 이슈? – 지금도 아니고 앞으로도 아니다: 낙태죄 담론 개괄과 사회정의로서의 낙태 재구성 ‘낙태’가 ‘여성’ 이슈? – 지금도 아니고 앞으로도 아니다: 낙태죄 담론 개괄과 사회정의로서의 낙태 재구성 ** 이 글은 페미당당이 주최하는 제3회 낙태죄폐지세미나(2017년 2월)에서 발제한 내용을 연설문 형태로 담아낸 것이며, 2017년 3월호에 게재했습니다.** 에서 읽기 (click) 0. 들어가며 ―아직 남은 질문들이전에 진행된 제1회, 제2회 낙태죄폐지세미나를 통해 많은 것들을 다루었지만, 저는 여전히 아직 남은 질문들이 있다고 느꼈습니다. 우선, 카톨릭 전통이 오래된 유럽이 아닌 곳에서 낙태 문제를 다뤄온 방식이 궁금하다는 것이었습니다. 낙태와 관련하여, 유럽의 국가들과 한국의 여성들이 처해있는 상황은 어떻게 다른가? 폴란드, 아일랜드보다는 일본, 중국, 필리핀 등 아시아 국가 여성들과의 .. 더보기
[rough summary] 패트리샤 힐 콜린스, 「흑인 페미니즘 사상」 *총 3부로 이루어진 책의 1부와 3부 부분 요약임.**사실 요약이라기보단 인용구 목록이라고 해도 좋을 만큼 러프함. 서문 “억압받는 집단은 지배집단에게 친숙하거나 편안한 언어로 자신들의 관념을 개념화할 때만 자신의 목소리를 전달할 수 있는 상황에 종종 놓인다. 이러한 요구는 우리 자신의 관념과 작업의 의미를 변화시켜서 결국 지배집단의 관념을 추앙하게 만들곤 한다.” (초판 저자서문 中) “이 책을 쓰기 시작할 무렵 나는 나의 개인적인 관념을 종이 위에 공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내심 꺼리는 불편함을 극복해야 했다. “한 개인일 뿐인 내가 어떻게 흑인 여성이라는 커다랗고 복잡한 집단을 대변할 수 있단 말인가?”라는 질문을 스스로 계속 물어야 했다. 우리 각자가 스스로를 위해서 말하는 법을 배워야 하기 때문에.. 더보기
스티븐 체리 「용서라는 고통」정리 (6장~12장) 용서라는 고통부제: 상처의 황무지에서 싹틔우는 한 줄기 희망 6장/ 살인 그 후 -살해당한 자의 유가족의 용서 이야기1) 고든 윌슨의 이야기: 1987년 11월 8일, 휴전기념 행사가 열리고 있던 북아일랜드 에니스킬렌에 폭탄테러가 발생했고 11명이 희생됨. 고든 윌슨은 스스로도 이 사건의 피해자였고, 함께 있던 딸 마리가 사망했기에 피해자의 유가족이기도 했음. 윌슨은 사건 직후 BBC와의 라디오 인터뷰에서 “저는 제 딸을 잃었습니다. 하지만 제게 앙심은 없습니다. 아무런 원한도 품고 있지 않습니다.”라고 발언.“1980년대 북아일랜드는 폭력과 보복, 공격과 응징의 한복판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앙갚음이 다시 또 다른 앙갚음을 불러오는 도저히 멈출 것 같지 않은 끝없는 복수의 소용돌이에 휩싸여 있었다.. 더보기
다양성과 보편성 ​​여전히 (적어도 학내 여성주의 운동판에서는) 페미니즘을 자유주의페미니즘/급진주의페미니즘/마르크스주의페미니즘/포스트모던페미니즘 등으로 구획하고 그 중 어느 하나를 취사선택해야 하는 것처럼 여겨지는 듯 싶다. 그러나 "페미니즘의 목표는 정의로운 사회여야 한다"는 지향을 또렷하게 가지고 있는 한, 특정 사상가나 조류에 조금 더 관심을 갖거나 방점을 찍을 수는 있어도, 배타적으로 하나와 동일시하기보다 현실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여러 이론들을 조화시켜내는 것이 필요하며 오히려 바람직하다. 아래는 김희강(2006) 논문의 일부로, 거대이론과 동일성논리를 비판함으로써 급진주의 페미니즘이나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과는 대척점에 있는 것으로 생각되는 포스트모던페미니즘 조류가, 어떻게 다시 두가지 조류와 만나면서 페미니즘을.. 더보기
[여성해방 길찾기③] 정체성 정치를 넘어서, 여성해방이라는 “정의(justice)”를 향해 [여성해방 길찾기③] 정체성 정치를 넘어서, 여성해방이라는 “정의(justice)”를 향해 * 이전 글을 읽으려면: [여성해방 길찾기①] “여성혐오”, 여성에 대한 문화적 부정의(injustice)의 다른 이름[여성해방 길찾기②] 여성혐오에 맞선 인정 투쟁: 메갈리아, 강남역 10번 출구, 그리고 그 이후 앞선 글들에서는 메갈리아, 강남역 10번 출구, 그리고 그 이후 온라인 공간을 중심으로 진행된 여러 활동들의 필요성과 의의를 강조하는 방식으로 살펴보았다. 그러나 한계점이 있는 것도 분명한 사실이다. 물론 거센 반발을 경험하고 있다는 것 자체가 현재의 운동방식의 한계로 지적될 수는 없다. 경제적 부정의에 대항하는 것이든 문화적 부정의에 대항하는 것이든, 기득권과의 투쟁에 어떻게 저항이 없으리라 기대할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