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뷰/논문

From Abortion to Reproductive Freedom From Abortion to Reproductive Freedom 中 수업시간에 요약발제했던 내용을 옮김 Transforming the Reproductive Rights Movement: The Post-Webster Agenda Marlene Gerber Fried ◎필자 소개 : Brown University에서 철학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Hampshire College의 철학 교수이자 Civil Liberties and Public Policy Program의 faculty director로 있다. Civil Liberties and Public Policy Program은 재생산 건강, 권리, 정의에 관한 교육과 활동을 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번 시간 다루게 된 From Abortion R.. 더보기
정동affection으로 여성운동하기? : '여성 혐오'와 저항의 딜레마 최근 한국사회의 역동을 설명함에 있어서 '감정' 혹은 '정서emotion' '정동affection'에 대한 관심이 높다. 물론 이것은 비단 한국에만 국한되는 흐름은 아닐 것이다. 1990년대 초반에서 중반 무렵부터 서구의 몇몇 비평이론가들과 문화비평가들은 후기구조주의와 해체주의의 흐름이 '언어학적 선회'를 만들어내며 포스트모던의 본격화를 알렸듯이, 이제는 '정동적 전회'의 시대라고 선언한 바 있었다. 정동과 정서로의 전회는 언어학적 선회 이후 시작된 문화, 주체성, 정체성, 몸에 대한 논의들에 대한 비판적 대안이자 확장이라고 의미부여되었다. 김홍중(2013) 또한 "20세기 후반에 사회학에 등장한 다양한 새로운 경향 중에서 가장 큰 주목을 요하는 것 중의 하나가 바로 '감정'에 대한 새로운 시각(8)"이.. 더보기
'사회통념'의 편향성과 허구성: 여성의 섹슈얼리티에 대한 성폭력 관련 법과 실제 젊은 층의 성인식‧성경험 간 간극 ‘사회통념’의 편향성과 허구성:여성의 섹슈얼리티에 대한 성폭력 관련 법과 실제 젊은 층의 성인식‧성경험 간 간극** 제16호 게재, 이은진(2016) 「한국 성폭력 관련 법에 담긴 여성의 섹슈얼리티와 젊은 층의 섹슈얼리티 비교 연구 –20대 대학생‧대학원생의 성경험과 성인식을 중심으로」를 요약 발제 0. 들어가며순결, 정조는 여성억압적 개념이며 따라서 법이 이런 관념을 승인하고 있는 부분은 변화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을 때, 흔히 듣는 말: “있잖아, 순결 그런 걸 지키라고 강제하는 건 나쁜 게 맞는 거 같아. 그런데 말이야.. 실제로 우리 사회에는 순결을 훼손당하면 괴로워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그런 사람들이 순결 때문에 더 괴로워하는 게 맞는데, 법이 이 점을 고려하지 않으면 안 되는 거 아냐?그러니까.. 더보기
[개념 소개]성 주류화(Gender Mainstreaming) "성 주류화 개념은 1995년 북경 세계여성대회에서 행동강령의 핵심 용어로 채택되었다. 성 주류화는 젠더 관점, 성 인지적 관점에서 모든 사회 영역을 바라보고 기존 성 불평 등한 사회 구조의 변혁을 목표로 성 평등한 새로운 사회를 모색하는 성평등 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이은아(2010: 309)는 이와 관련, 성 주류화에 대해 북경행동강령과 유엔경제이사 회를 인용하며 다음과 같이 정리하고 있다. 북경행동강령에서 성 주류화는, 체계적인 절차 와 메커니즘을 향한 도약을 의미하며, 젠더 이슈를 정부와 공공기관의 모든 의사결정과 실행에 고려하는 것이다. 한편 유엔경제이사회에서 성 주류화는, 모든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영역의 정책과 프로그램에 대한 디자인, 실행, 모니터와 평가에서 여성과 남성의 관심과 경험.. 더보기
남편을 살해한 아내에게 내려지는 엄벌: 「가족살해 가해자의 특성과 양형요인에 대한 연구」 손지선, 이수정 (2007), 가족살해 가해자의 특성과 양형요인에 대한 연구(Famicide Offenders' Characteristics and Factors for Sentencing),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1(1), 1-17 선행연구: 성별과 양형-'기사도(chivalry)' 혹은 '온정주의(paternalism)' 가설: 양형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여성이 남성에 비해서 더 관대한 기준을 적용받는 경향성이 있다는 것.(Moulds, 1978)-악녀 가설(evil women hypothesis): 여성이 같은 범죄를 저지른 남성보다 더 심각한 범죄자로 인식되어, 남성보다 더 엄한 형벌을 받을 수 있다는 것.(Bernstein, 1977; Bowker, 1978; Rasche, 1975).. 더보기